etc

🐳 Container

[etc] Containerd

[etc] Containerd쿠버네티스 버전 1.24부터 컨테이너 런타임으로 docker의 지원이 종료되고,containerd로 전환이 되었다. node에 접속해서 생성된 컨테이너 ID를 확인할 일이 있어, 습관적으로 docker ps 명령어를 실행했는데아무것도 없어서 당황했다 ... 😋 node를 조회하면 컨테이너 런타임이 containerd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k get node -o wide containerd는 ctr 명령어를 확인하여 컨테이너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containerd는 쿠버네티스와 같이 네임스페이스를 사용한다. ctr namespace list 다음 명령어를 통해, k8s.io 네임스페이스 내의 컨테이너의 리스트를 확인 할 수 있다.ctr -n k8s.io contain..

👩‍💻 Develope/Web

[etc] HTTP 상태코드

[etc] HTTP 상태코드 HTTP는 웹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프로토콜이다.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HTTP 상태 코드를 반환하여 요청의 결과를 전달한다. 몇 가지 일반적인 HTTP 상태 코드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보자. 1XX (Informational) 100 Continue: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일부 요청을 받았으며, 클라이언트는 나머지 요청을 계속해도 된다는 것을 알린다. 101 Switching Protocols: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수락하고 프로토콜 변경 요청을 받았음을 나타낸다. 2XX (Success) 200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을 나타낸다. 201 Created: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어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음을 나타낸다..

💡 etc/Infra

[Network] 네트워크 관련 용어정리 (2)

[Network] 네트워크 관련 용어정리 (2) 서브넷(Subnet) : 서브넷은 IP 주소를 분할하여 작은 네트워크로 분할하는 것 하나의 네트워크를 작은 네트워크로 나누면 더 효율적으로 IP주소를 할당할 수 있음 각각의 서브넷은 고유한 IP주소 범위를 가지며, 서로 다른 서브넷 간에는 라우터를 통해 통신 도메인(Domain) : 인터넷 상에서 컴퓨터, 서버, 네트워크 등에 부여된 이름 도메인 이름은 일반적으로 계층 구조를 가지며 도메인 이름은 DNS 서버에 등록되어 있음 이를 통해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여 해당 서버로 접근 VPN(Virtual Private Network) : VPN은 공개 네트워크(인터넷)을 통해 안전하게 두 지점 간의 연결을 구축하는 기술 VPN을 사용하면 두 지점 간의..

💡 etc/Infra

[Network] 네트워크 관련 용어정리 (1)

[Network] 네트워크 관련 용어정리 (1) 네트워크와 관련된 용어들은 자주 사용되지만 자꾸 까먹는다 😅 자주 사용되는 단어 몇개만 간단하게 정리를 해봄 Internet : TCP/IP라는 통신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네트워크 Load Balancer (L4, L7 Switch) : 부하를 분산하는 과정에서 탄생 클라이언트 요청을 여러 대의 서버로 분산하고, 서버의 부하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트래픽을 조절하여 안정성과 가용성을 높이는 역할을 함 L4 : OSI 7계층에서 전송계층에 해당하는 TCP/UD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부하를 분산 L4 로드 밸런서는 IP 주소와 포트 번호에 따라 서버 연결 요청을 분해 서버에 대한 로드 밸런싱만 수행하기 때문에 전송 속도가 빠르고 대규모 트래픽 처리에 ..

heywantodo
'etc'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