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inux] conda : command not found
[Linux] conda : command not found ubuntu 환경에 conda를 다 설치했는데 명령어를 찾을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했다. 알고보니 설치 폴더가 환경 변수에 등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에러였다. 다음과 같이 path를 설정해주면 conda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된다. export PATH=~/anaconda3/bin:$PATH
[Linux] conda : command not found ubuntu 환경에 conda를 다 설치했는데 명령어를 찾을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했다. 알고보니 설치 폴더가 환경 변수에 등록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한 에러였다. 다음과 같이 path를 설정해주면 conda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게된다. export PATH=~/anaconda3/bin:$PATH
[Linux] nohup nohup 명령어는 터미널과의 세션이 끊기더라도 프로세스가 계속 동작하게 해준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nohup python test.py & 실시간으로 로그를 확인할 수도 있다. nohup python -u test.py & tail -f nohup.out
[Linux] 사용자에게 sudo 권한이 있는지 확인하기 현재 사용자는 sudo 명령 자체로 sudo 권한이 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sudo whoami 만약 sudo 권한이 없을 경우 패스워드 입력을 요구한다. 다른 리눅스 사용자에게 sudo 권한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sudo -l -U [user_name] 만약 sudo 권한이 있으면 다음과 같이 출력되고 Matching Defaults entries for on test-server: env_reset, mail_badpass, secure_path=/usr/local/sbin\:/usr/local/bin\:/usr/sbin\:/usr/bin\:/sbin\:/bin\:/snap/bin User may run the foll..
[Shell Script] While문에서 횟수 제한하기 bash 쉘에서 로그인을 하는 스크립트를 생성했는데, 로그인 실패 시 무한으로 retry가 되는 스크립트가 생성이 됐다 😅 While문에서 횟수 제한을 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하다. ((n++)) && ((c==4)) && echo "Login Failed" && exit 9 다음과 같이 로그인 시도 횟수가 3회를 넘어가면 스크립트를 종료시켰다. n은 미리 정의해주지 않아도 된다. 전체 코드는 다음과 같다. command_to_run="" while true; do output=$(eval $command_to_run 2>&1) ((c++)) && ((c==4)) && echo "Login Failed" && exit 9 if [[ $output =..
[Linux] Shell에서 date 다루기 리눅스 또는 유닉스 계열을 표시하기 위해선 다음과 같은 문법을 사용한다. 옵션 내용 -d 원하는 일자를 지정 + 출력 포맷 지정 포맷 설명 출력 +%a 요일 Mon +%A 요일 Monday +%Y 년 2018 +%b 월 Jan +%B 월 January +%d 일 04 +%m 달 05 +%D MM/DD/YY 형식 일자 출력 12/25/23 +%F YYYY-MM-DD 형식 일자 출력 2023-12-25 +%H 시간(24시) 16 +%I 시간(12시) 4 +%M 분 52 +%S 초 18 +%Z 타임존 KST 년월일 형태 date +"%Y-%m-%d" 2023-12-25 년월일 시간 date +"%Y-%m-%d %H:%M:%S" 2023-12-25 12:25:01 유..
[Linux] 리눅스에서 Json 형태의 문자열 파싱하기 (jq) 리눅스 상에서 json 형태의 문자열을 파싱을 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 jq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면 쉽게 파싱이 가능하다. apt install jq 다음과 같이 Json 문자열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 "name": "Google", "location": { "street": "1600 Amphitheatre Parkway", "city": "Mountain View", "state": "California", "country": "US" }, "employees": [ { "name": "Michael", "division": "Engineering" }, { "name": "Laura", "division": "HR" }, { "nam..
[Linux] 리눅스 방화벽 구성 방화벽 (firewall) 네트워크를 통한 외부의 접속을 차단하려면 방화벽을 사용해야 함 Ubuntu 방화벽 관리 툴 - ufw ufw enable|disable ufw deny|allow service 방화벽의 룰을 허용|거부|삭제 등 설정하는 툴 centOS 방화벽 관리 툴 - firewalld firewall-cmd 방화벽의 룰을 설정하는 툴 --peramnent 옵션을 사용하면 영구적으로 allow 해준다
[Linux] 숨김 파일 용량 확인 디스크에 용량이 대부분 찼을 때, 어떤 파일이 용량을 차지하고 있는지 확인하고 싶었는데 du -sh * 명령어를 사용하면 숨겨진 파일의 용량이 나오지않아 확인이 어려웠다. 숨겨진 파일의 용량을 포함하여 확인을 하려면 --max-depth=1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du -h --max-depth=1 이때, sort -hr 명령어를 같이 사용하면 크기가 큰 순서대로 정렬이 가능하다. du -h --max-depth=1 | sort -hr
[Shell Script] 배열 (array) 사용하기 쉘 스크립트에서 배열을 정의하고 배열의 길이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하여 찾아보니 쉘에서도 array를 사용할 수가 있었다. 배열 정의 괄호 안의 값들을 배열의 요소로 설정하여 변수를 배열로 사용할 수 있다. 변수=(값1 값2 값3) 인덱스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arr만 출력하면 첫번째 값이 출력되고 [@]를 사용하면 전체 값이 출력된다. [] 내부에 인덱스 값을 지정해주면 특정 인덱스의 값을 출력할 수 있다. arr=('a' 'b' 'c') echo $arr a echo ${arr[@]} a b c echo ${arr[1]} b 배열에 요소를 추가하는 법은 다음과 같다. 배열+=(값) arr+='d' echo ${arr[3]} d 여러 요..
[Shell Script] 함수 만들기 아래 포스팅으로 AWS Cli에서 ELB를 Detach, Attach 하는 경우를 알아봤었는데, ELB의 타겟에 여러개의 인스턴스가 있는 경우에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했다. [AWS Cli] ELB Detach, Attach 하기 [AWS Cli] ELB Detach, Attach 하기 AWS CLI로 ELB의 대상 인스턴스를 확인하고,Detach와 Attach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aws cli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선 credential이 필요하다. 스크립트로 작성했기 때문에, Shell Sc heywantodo.tistory.com Shell Script에서 함수 생성하기 함수를 생성하는 방식은 두가지가 있다. 1. 코드 블록에 함수 이름을 지정..
[Linux] Curl 명령어 사용 시 진행 내용 가져오지 않기 스크립트를 실행 할 때, Curl 명령어를 반복적으로 실행해야 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Curl 명령을 실행할 때마다 아래와 같은 진행 내용이 출력되어 로그를 확인하기 힘들었다. 진행 내용이나 메시지들을 출력하지 않게하려면 -s (--silent)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 curl -s -XGET ${TARGET_URL} >> ${ERROR_OUTPUT_FILE_PATH} 2>&1 참고 https://acet.pe.kr/836
[Linux] 에러 : Pseudo-terminal will not be allocated because stdin is not a terminal SSH 원격 접속 후 스크립트를 실행할 때, 명령어 실행 자체는 문제가 없었지만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계속 발생했다. 위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발생하는 이유는, 터미널 처럼 상호작용을 하지 않아 SSH에 대해 지정된 명령어가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해결 방법은 단일 명령어를 사용하거나, -T(혹은 -t -t) 옵션을 사용하면 된다고한다. ssh -i [user]@[ip주소] -T sh < ./script.sh 참고 https://blog.1day1.org/474